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1815475)  썸네일on   다크모드 on
낭만냐옹.. | 24/06/28 22:22 | 추천 29

☆경축★ KF-21 망함. (왜 망했는지 알아보자) +18

원문링크 https://www.ilbe.com/11537981523

안녕 게이들아.
평소 내가 자동차 뻘글적는거랑 이번에 배터리 사고로 빡쳐하는것등 보면 알겠지만,
자동차,조선,중공업,화학공업등 다방면에서 부품회사하고 있는 여러작은 그룹있는 회사야.
현 잠수함, 호위함, 미니이지스함부터 잘 나가고 있고, 천마,K2,K9등 육군 무기야 원래 규모의 경제 그 자체였으니
짱짱하지. T-50, FA-50도 나름 준수해.
헌데 KF-21은 그냥 망했다고 보면 돼.
여기까지 읽으면 결론 KF-21망이라고 하고 인식하면되고
이유가 궁금하면 긴 잡설 읽어보도록해.

한국형 전투기(KF-X) 체계 개발 사업으로 2015년에 시작한 KF-21
4.5세대 전투기로 2026년 블럭1(공대공) 배치가 예정되어 있지.

방위사업청 발주
KAI 계약자
KF-21 총 20대와 기술 교범·교육 등 후속 군수 지원
1조 9600억 원 

방위사업청 발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계약자
F414 엔진 40여 대와 예비 모듈 등을 납품하고 엔진 정비 교범과 현장 기술 지원 등 후속 군수 지원
5562억 원

방위사업청 발주
한화시스템 계약자
공기용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 20대
1100억원

우려하던 현실대로 블럭1 20대 주문 공급계약이 진행되었어.
합계금액 총 2조 6262억원
KF-21 블럭1 1대당 가격 약 1313억원이 나오지.
지금은 교육, 현장기술지원, 군수지원등으로 비용이 비싸고, 나중에는 낮아진다고 하고,
최대 30%까지 낮아질수 있다는건 완전히 잘못된 말은 아냐.
부분적으로 맞긴 맞아. 900억 초반까지 대당가격이 나올수는 있어.
헌데, 말야 지금부터 생각해보자.

마트에 가면 알겠지만, 용량당 가격을 적어놓은게 있어.
보통 보면 고용량 제품일수록 용랑당 가격이 싼걸 알수 있지.
KF-21은 원래 블럭1 40대 양산계획이었어.
F-4, F-5의 후속으로 공대공을 맞을 예정이었지.
어차피 F-16과 F-15K, F-35A가 배치된 상황이라 F-5의 미친듯한 출격속소는 애초에 안되니까
그냥 F-4,F-5대신이라고 봤던거지.

우리 이재명을 지지한 국방과학연구소에서 40대 양산을 포기하고 20대 양산으로 바꿔버렸지.
https://www.chosun.com/politics/goverment/2024/01/31/SZ2DIJH22BES5P3RWK44736454/

이게 여론이 완전히 불난 이유는 K방산이 미친듯이 잘나가고 있는데,
자국내에서 이러다보니까 완전히 난리난거야. 보수건 좌파건 말야.
저거 지지하는 새끼는 한순간에 빨갱이 아님 짱깨(조선족)되는거였지. 매국노 프레임 발동이었어.
그래서 어떻게 한다. 여론으로 인해서 뒤집는건 보기 안좋으니까 20+20을 한거야.
올해 이렇게 계약하고, 내년에 20대 추가 계약한다고 말야.
그럼 해결된거라고 생각한다면, 그냥 일반인인 거야.
대가리에 뇌가 기능을 좀 하는 사람이면 이거 ㅈ되겠는데 하는 생각이 드는거지.

대기업은 원자재연동제 실시하게 하면서 씨발놈들이 20대+20대 ㅋㅋㅋ
마트에 가서 물건 살때 20대사고 내년에 20대 살거니까 40대 가격으로 주세요 해봐.
개병신짓도 이런 병신짓이 없지.


F-35A의 가격은 기당 8천 920만 달러 (약 990억 원)으로 하락하기 시작해서
최저가일때 7천 790만 달러까지도 내려가고 있음.
내수용과 다른 수출형 버전인데도 불구하고 못사서 환장하는거지.
일단, F-35A는 이슬람국가는 구입 못하고 있음. 터키는 진작 나가리되었고, 사우디는 이스라엘과 회복해서 구매 좀 하려고 했는데
팔레스타인 하마스 때문에 개작살나고, 모르코, 인도네시아등도 손가락만 빨고 있음.
헌데도 많이 구입함. (정작 미국은 구입량 줄이는데, 이건 나중에 이야기함)

원래 비싸도 1200억대였음. ㅋㅋㅋ 헌데 KF-21은 아무리 초기 가격이지만, 5세대 보다 비싼 4.5세대로 1300억대인거임.
시작부터 개병신쇼로 인해서 자국도 거르는 비행기는 인도가 유명한데. 씨발 그 등급으로 자국도 40대에서 20대로 규모 축소해서
계약한 문제의 전투기가 되어버린거임. 거기다가 40대에서 20대로 계약하면서 단가 폭등까지 됨.
규모의 생산이 안된다는거임. 애초에 40대 준비하면 안되냐고 하는데, 한화나 KAI야 가능하지만, 그 밑에 등급의 회사는
그렇게 시원하게 지르지도 못하고 대출도 안나옴. 한마디로 20대 단가 맞추는것만 해도 회사 휘청이는데 수두룩할거라는거지.

내년에 계약하면 싸져봐야 10~20%임. 즉 여전히 비쌈.
이를 알고 있기에 한국 공군도 F-35A 쌀때 20대 주문 더 해놨음.
거기다가 일본, 호주가야했던 정비창도 같이 만들어줌.
내가 볼때 KF-21말고 F-35A나 20대 또 주문해야할듯하다.
솔직히 말하면 블럭 업그레이드해서 내부 무장창 커지면 KF-21 무쓸모이다. 

인도네시아가 KF-21을 주문할 가망성은 0임. 애초에 기밀유출은 5년전부터라는 말도 있고,
분담금도 인도-러시아 만큼 째버렸기에 희망이 거의 없지.
거기다가 3차에 걸쳐서 프랑스 다쏘사의 라팔을 42대나 계약함.
누가봐도 KF-21 대신 주문한거임.

물론 관련자로써 기술력확보와 미래를 위해서 나 역시도 KF-21은 계속 생산해야한다고 생각은함.
현대-SK-한화가 만들고 있는 호위함 독과점하고 있고, 잠수함도 마찬가지고, 너희가 아는 온갖 장비이
핵심부품은 독과점이긴해. 만약에 국내에 3업체가 있다면 그 3업체에 다 공급하거든.
비단 조선뿐 아니라 자동차나 다른곳도 말야.

현 인도네시아 상황부터 정리해줄께
프랑스 다쏘사-라팔 42기 (3차분 18기 올해1월 계약)
프랑스 나발그룹-스코르펜(Scorpene) 잠수함 2척 (올해4월 계약)

참고
한국과 KF-21 분담금 내고 테스트기1+기술이전(개발금20%)+현지생산 48대 했으나
분담금 1조6천억중 6천억만 납부 상황 + 기술 유출
->프랑스 라팔 42대 계약

한화오션과는 1천400톤급 3척만 인도됨(1~2번 한화오션, 3번함 PAL조선소 현지 조립)
2019년 추가 잠수함 3척 (1조 1천600억)은 계약금 내지 않아서 계약 미발효
->프랑스 잠수함 2척 계약

즉 더 이상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방산으로 역일은 없음.

개인적으로 했으면 하는건 동남아 유일에 F-35운영국인 싱가폴은 희안한 계약을 했음.
전세계 F-35B를 운영하는 국가는 미국, 이탈리아, 영국임.
최근 주문한 국가는 바로 일본, 그리고 싱가포르임.
일본은 알다시피 이즈모급 2척을 바꿀 예정으로 F-35B 42대를 주문했음.
이미 이탈리아, 영국이 항공모함에서 F-35B를 운영중임. (영국은 특이하게 F-35B만 운영)
이탈리아 항모는 1척이고 일본은 2척이 될거라서 이탈리아는 공군15+해군15기 F-35B운영,
일본은 42기 주문상태임.
헌데 싱가폴은 F-35A 8기와 F-35B 12기를 주문함.
이유는 지역이 좁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하나는 상륙함,헬기항모에서 계열에서 수직 이착륙을 고민하고 있는듯하다.

싱가포르는 스웨덴/덴마크를 통해서 군함을 공급받고 있는데, 
싱가포르는 인구에 비해서 군사력이 상당히 강하다.

당장 공군만봐도
F-15E 40기

F-16 C/D형 60기

?G550 조기경보관제기 4기

KC-130H 공중급유기 5기

A330 MRTT 공중급유기 6기

?C-130H 수송기 5기
이며, 뭐 말하면 길어질거지만, 돈있는 국가답게
레오파드2 170대, AFV 140대, IFV800대+435대, APC 525대, M113 APC도 750대
AH-64D 18기까지 육군에 있고
해군 역시

포미더블급 호위함 (3200톤) 6척

빅토리급 초계함 (595톤) 6척

인디펜더스급 초계함 (1200톤) 8척
아처급 잠수함(1500톤) 2척
218급 잠수함(2000톤) 3척 + 2척 생산중.
여기다 중국의 횡포등 동남아에서도 심각해서 스웨덴/덴마크 합작 조선소에 1만톤급 다목적 전투함 6척 예정이다.
당연히 F-35B를 운영한다는건 운용함도 고민중이라는 듯.

이게 어느정도인지 감이 안올건데
동남아 인구+GDP+군사력의 양대축인 인도네시아, 베트남과 비교해도
공군에서 우위를 점한다.
인도네시아 공군은 F-16 33기, SU-30 11기, SU-27 5기 이다.
물론 군사력 증강을 별로 안해서 그렇치 해군력은 인도네시아가 월등하다.
영토가 넓고 섬위주다보니까 해군 함선수가 낡아도 엄청나게 많다.

헌데 질과 양의대결로 본다면, F-35 있는 국가와 없는 국가는 차이가 날것이다.
왜냐하면 수출형은 레이더, SW가 떨어진다고 해도 5세대 전투기이기 때문이다.
F-35A가 있는 국가는 정찰, 초계기, 기습(암살), 폭격등 다양한 임무가 가능하다.

스텔스기에 항속거리가 깡패,

역으로 말하면 진짜 우울하게도 KF-21은 4세대 전투기이다.
약간의 RCS값이 적은 스텔스 설계를 조금 한건 맞지만.
저걸 개량한다고 5세대가 되진 않는다.

그럼 왜 KF-21은 끝났다고 할까?
이유는 세계적으로 주문이 밀려서 터져나가는 F-35를 보면된다.
미국이 자체 주문량을 축소하고 있다.
수출 위해서 양보한다는건 레알 개소리다.
예산 문제는 부분적으로 맞다. 실제 미국은 전체적으로 늦춘것이 꽤 있다.
F-35 구매를 공군, 해군이 줄이고 있고, 해군은 포드3번함을 1년정도 늦췄고, 핵잠수함도 늦춘 상태이다.
미 주방위군은 F-15EX를 도입중이다.
헌데, 정확하게 말하면 전쟁의 무기 양상이 완전히 달라지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보면 러시아가 기존에 재미 봤던 기동전단으로 돌격했는데, 보급부터 박살나고,
반격에 밀림. 그리고 가성비의 드론이 나오고 드론 막는 시스템이 구축되는등 하다 참호전이 되고 드론이 다시 날라다님.
러시아가 공군력으로 활공탄 재미보다 미국이 봉인 푸니까 공군기지 박살남.
헌데 이건 러시아 절반 전력이고 우크라이나는 조금만 지원받는 상황일뿐임.

이번 부산에 들어온 항공모함은 루즈벨트로 니미츠급이고 기존 함재기 구성을 가짐.
헌데, 일본에 교체되어 들어온 오버홀한 레이건는 F-35C탑재만 보겠지만 아님.

부산에 들어온
시어도어 루즈벨트 (CVN-71)
FA-18 슈퍼호넷
EA-18G 그라울러
E-2호크아이(공중조기경보기)
C-2그레이하운드(수송기)
MH-60S시호크(다목적헬기)
MH-60R시호크(해상적전헬기)
등 약90여대 수용중임.

참고로 F-35C 없다. ㅋㅋ 이유는 간단한데, 오버홀 하지 않는 이상에는 실전배치가 더딘편이다.
더군다나 미해군, 미해병대는 F-35C 주문을 별로 하지 않음. (미해병대는 F-35B도 적당히 주문함)
이유는 5세대 전투기가 과도기적 기체로 6세대로 빠르게 전환 예정이라서임. (실전배치 2035년경으로 보는중)

로널드 레이건함(CVN-76)이 일본에서 미국으로 가서 1년간 오버홀 예정이구.
조지 워싱턴함(CVN-73)가 오버홀해서 교대하기 위해 옴.
여기에는 F-35C와 무인 공중급유기 MQ-25 스팅레이가 들어옴.
이는 중국 초음속 미사일 사정거리 밖에서 F-35C를 출격시킬수가 있음.

즉 지금 대만 위아래로 해서 미군 해군 뿐 아니라 해병대, 육군이 라인업 깔아놓는거 보면
방위선 자체가 중국이 뚷을수 없게 될수 있음.

아까 말했지만, 미군은 F-35가 이미 필요가 없음.
B-21 뿐 아니라 이미 실전 배치된 MQ-25 스팅레이를 보면 알지만, 애 공중급유만 하는거 아니다.
이미 미군은 무인기 실전배치헀고, 무인함도 실전배치했다.
그리고 다른 나라기준 항공모함인 아메리칸급 2척도 (아메리카, 트리폴리) 지금 중국 옆에 배치되어 있다.
5세대는 과도기적이고 이제 6세대라는건 이미 알려질때로 알려있다.

미국 PCA(공군), F/A-XX(해군)

영국,일본,이탈리아 GCAP

프랑스 독일 스페인 FCAS

러시아 PAK-DP

등이다.

5세대도 못 받는 인도, 이슬람국가(사우디,요르단등)은 똥줄 타고 있다.

프랑스 다쏘사 라팔 처럼 국가전투기를 운영하고 있는
스웨덴 사브사 그리펜을 운영중인데, KFS라는걸 하고 있다. (그리펜은 중국과 비슷하게 카나드를 달고 있다.)
허나 6세대인지 불분명한데, 한국 KAI와 6세대 이야기를 한다고는 알려져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5세대 보유한 국가들도 전부 6세대 개발에 들어갔고 2035년을 보고 있을만큼 빠르게 보고 있다.

알다시피 프랑스는 화려한 전적이 있다.... 함재기 운용해야한다며 라팔을 2종으로 뽑은.
유로파이터 타이푼을 생각해보면 연합한게 장점은 아니다.

결론을 말 안하고 질질 끄는데 간단히 말하면 그러하다.
KF-21은 우리나라 빼고 운영할 국가는 있을것이다. 단, 적어도 10년동안을 없을수도 있다.
제작 당사국도 40대에서 20대로 축소하고 40대구매한다는 분담금 국가는 빤스런하고 구형 라팔 사고 있는데,
누가 당장 사겠는가.

5세대 개발하는 국가는 없다.
전부 6세대를 목표로 미국,영국,일본,이탈리아,프랑스,독일,스페인,러시아 (인도,스웨덴도 억지로 포함은 할수 있다.)가
나아가고있다. 가장 중요한건 F-35처럼 팔수 있냐, F-22처럼 안팔것이냐인데,
현 분위기상은 수출이 없다. 아마 있어도 7세대 나올때쯤일거다.
실제 F-22은 아직도 수출 판매가 없다. 다운그레이드에 다운판매도 없는거다.
현 F-35도 수출형은 다운그레이드가 되어 있다.
6세대를 독자 개발 아님녀 공동 개발해야 얻을수 있는 기체인거다.

미국입장도 명확하고 세계적 국가들의 입장도 명확하다.
즉 KF-21이 많이 팔릴수는 없을거다.
저가형 6세대 무인기도 나올거니까 판매 수요층은 없다고 보면된다.
20대 양산으로 사실상 KF-21은 끝났다고 보면된다.

잡소리 읽는다고 수고 많았다.
 
[신고하기]

댓글(0)

이전글 목록 다음글

67 8 9 10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