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게 실시간 커뮤니티 인기글
종합 (4169505)  썸네일on   다크모드 on
로미놀반.. | 24/06/18 14:22 | 추천 39 | 조회 12

베스트에 종종 올라오는 조선에 대한 잘못된 지식들 +12 [15]

루리웹 원문링크 https://m.ruliweb.com/best/board/300143/read/66510968

img/24/06/18/19028ec93f247f6fa.png

 

1. 왕과 중전이 동침할 때 상궁이 지시했다.

 

→ 거짓. 실록이든 승정원 일기든 왕이 집무를 마치고 침전으로 들어가면 거기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기록되지 않음.

 

폐비 윤씨나 장희빈의 비행이 실록에 기록된 이유는 왕이 직접 증언했고 '왕실의 집안일'을 넘어 정치적 사안으로 비화됐기 때문임.

 

실록에 기록되는 건 왕이 어떻게 일을 하느냐-지, 왕이 사석에서 어떤 모습을 보이느냐-가 아니다.

 


img/24/06/18/19029a7298f359878.png

 

2. 실록은 왕의 일거수일투족은 남김 없이 기록한다.

 

img/24/06/18/19029aa969a359878.png

 

→ 대체로 거짓. 태종을 스토킹했던 사관 민인생 일화는 기록 형식이 부재했던 조선 초에 일어난 해프닝임.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왕이 업무를 마치고 침전에 들어가면 어떤 일이 있는지 기록되지 않음.

 

왜? 사관도 퇴근하니까.

 

민인생이 실록에 이름 석자 남긴 이유는 무슨 참된 사관의 전형이라서 그런 게 아니라

 

이런 정신이 나간 놈도 있었다는 박제에 가까움.

 

중종 시대에 조광조가 침전에도 사관을 들여서 왕의 모든 행적을 기록해야 한다고 주장했었는데

 

그러다가 호감스택 쌓여서 결국 숙청됐음.

 

img/24/06/18/19029b2c8ff359878.png

 

3. 조선시대는 보정이라고 하는 춘화를 교재로 사용하는 성교육 제도가 존재했다.

 

→ 거짓. 보정이라는 단어는 사용됐지만 이건 모름지기 사대부라면 색욕을 멀리해서 '정'을 '지켜야' 한다는 뜻이지

 

무슨 체계적인 성교육 커리큘럼을 가리키는 용어가 아니다. 

 

가끔 보정을 근거로 조선은 은근히 성적으로 개방적인 나라였고 작금의 폐쇄적인 성문화는 기독교에서 온 것이라는

 

소리까지 나오는데 애초에 보정이 루머와 불과하니 이 주장은 전제부터 틀려먹은 거짓이라고 할 수 있음

 

img/24/03/08/18e1c142f14536f77.jpg

 

4. 임진왜란 당시 왜군은 임금이 수도를 버리고 도망갈 거라고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 대체로 거짓. 일본 다이묘들은 성이 함락되면 할복했기 때문에 군주의 도주는 겪어본 적 없었다-

 

가 이 주장의 주된 논지인데 천황이든 쇼군이든 다이묘든 도주할 곳이 있으면 당연히 튀었다.

 

당장 오다 이전에 일본을 통치한 무로마치 막부의 쇼군들도 교토에서 쫓겨났다고

 

다 끝이다 배 가른 게 아니라 우호 세력에 몸을 맡기고 재기의 때를 노리고 존버했다

 

영지가 모조리 타군에게 점령되어 도주할 곳도 없고 외교적으로 고립되어 재기의 가능성도 없다

 

정도의 극한 상황이라야 게임 조까치 하네 하고 배 가르고 저승으로 퇴갤했다.

 

보통은 내가 졌다 너를 따르겠다 이 정도 선에서 마무리가 됐다.

 

왜군이 정말로 몰랐던 것은 한반도가 생각보다 크다는 것이었다.

 

당시 왜군 지리 감각은 한반도 = 큐슈 사이즈(실제로는 거의 6배 차이)

 

였기 때문에 선조가 한양을 버리고 한참을 더 도주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신고하기]

댓글(15)

이전글 목록 다음글

11 12 13 1415
    
제목 내용